피그마(Figma) 프로그램 완벽 소개와 실무 활용 꿀팁 – 유료 vs 무료 차이 총정리

피그마(Figma) 프로그램의 특징과 실무 활용법, 무료와 유료 플랜의 차이를 단계별로 소개할게요.


피그마란? – 클라우드 협업 디자인의 혁신

피그마는 웹 브라우저만 있으면 언제 어디서나 접속해 디자인, 프로토타입, 피드백, 개발 협업까지 모두 가능한 클라우드 기반 디자인 툴입니다.

주요 특징

  • 실시간 동시 협업: 여러 사용자가 한 파일에서 동시에 작업, 피드백, 수정 가능
  • 자동 버전 관리: 변경 이력 자동 저장, 언제든 복구
  • 플러그인/위젯 지원: 반복 작업 자동화, 기능 확장
  • 컴포넌트 시스템: UI 요소를 컴포넌트로 만들어 재사용 및 일괄 수정
  • 디자인 시스템 구축: 브랜드 일관성 유지, 대규모 프로젝트에 최적
  • 프로토타입 제작: 실제 앱처럼 인터랙티브한 프로토타입 구현
  • 플랫폼 독립적: 윈도우, 맥, 리눅스, 모바일 등 어디서나 동일 환경

피그마 무료 플랜과 유료 플랜, 무엇이 다를까?

플랜별 주요 기능 비교

플랜명가격주요 특징 및 권장 대상
Starter(무료)무료개인/소규모, 기본 디자인, 1개 프로젝트 3개 파일 제한, 30일 버전 기록, 기본 협업
Professional약 $12/월소규모 팀, 무제한 파일/프로젝트, 팀 라이브러리, 고급 프로토타입, Dev Mode, 무제한 버전 기록
Organization약 $45/월중대형 조직, 무제한 팀, 중앙 관리, SSO, 보안 강화, 공유 라이브러리, 고급 관리 기능
Enterprise맞춤형대기업, 엔터프라이즈 보안, 커스텀 워크스페이스, 대규모 디자인 시스템, 관리자 기능 강화

2025년 기준, 시트(Seat) 기반 요금제로 전환되어, 역할(Full, Dev, Collab, Viewer)에 따라 요금이 다르게 책정됩니다.


무료 플랜(Starter Plan) – 개인, 입문자, 소규모에 최적

  • 프로젝트/파일 제한: 1개 프로젝트, 최대 3개 파일(개인 드래프트는 무제한)
  • 기본 디자인/프로토타입/플러그인 사용 가능
  • 실시간 협업 가능 (단, 팀 협업 기능은 제한적)
  • 버전 기록: 30일간만 저장
  • 팀 라이브러리, 고급 프로토타입, Dev Mode, 무제한 프로젝트 등은 불가
  • 조직 관리/보안 기능 미지원

적합 대상:

  • 혼자 디자인하는 프리랜서, 학생, 피그마 입문자
  • 소규모 개인 프로젝트, 가벼운 협업

유료 플랜(Professional/Organization/Enterprise) – 팀, 조직, 전문가에 최적

  • 무제한 프로젝트/파일 생성
  • 팀 라이브러리: 컴포넌트, 스타일, 변수 등 공유 및 일괄 관리
  • 고급 프로토타입: 변수, 동영상 삽입, 인터랙션 다양화
  • Dev Mode: 개발자 전용 뷰, 코드/변수 추출, 개발자 협업 강화
  • 무제한 버전 기록: 프로젝트 변경 이력 무제한 저장 및 복구
  • 관리자 기능: 팀원 권한 관리, SSO, 보안 정책 적용
  • 대규모 협업/관리: 여러 팀, 프로젝트, 조직 단위로 효율적인 운영

적합 대상:

  • 실무 디자인팀, 스타트업, 대기업, 대규모 협업 프로젝트
  • 디자인 시스템 구축, 개발 협업, 고급 프로토타입 필요 시

플랜별 기능 요약표

기능/플랜무료(Starter)유료(Professional/Org)
프로젝트/파일 수1개/3개 제한무제한
팀 라이브러리XO
고급 프로토타입(변수, 동영상 등)XO
Dev Mode(개발자 뷰)XO
버전 기록30일무제한
관리/보안(SSO 등)XO
협업 권한 세분화XO
관리자 기능XO
플러그인/위젯OO
실시간 협업OO
FigJam, SlidesO(제한적)O(풀기능)

피그마 실무 활용 꿀팁

1. 실시간 협업과 피드백

  • 동시 편집: 여러 명이 한 파일에서 실시간 작업, 댓글/채팅/음성 피드백 가능
  • 외부 공유: 링크로 클라이언트, 파트너와 즉시 협업

2. 컴포넌트와 디자인 시스템

  • 컴포넌트: 버튼, 카드 등 반복 UI 요소를 컴포넌트로 만들어 일괄 관리
  • Variants: 다양한 상태(활성/비활성 등)를 한 컴포넌트에 묶어 효율적 관리
  • 디자인 시스템: 브랜드 컬러, 폰트, 아이콘 등 자산을 라이브러리로 체계화(유료 플랜에서 팀 전체 공유)

3. 플러그인과 위젯 활용

  • 플러그인 설치: 아이콘, 이미지, 더미 텍스트, 컬러 팔레트 등 반복 작업 자동화
  • 추천 플러그인: Unsplash(이미지), Iconify(아이콘), Content Reel(더미 텍스트), Autoflow(플로우차트)
  • 위젯: FigJam에서 투표, 스티커, 타이머 등 협업 효율화

4. Auto Layout & 반응형 디자인

  • Auto Layout: 버튼, 리스트 등 반복 UI를 자동 정렬/간격 조절
  • 반응형 UI: 다양한 해상도 대응, 오브젝트 크기/간격 자동 조절

5. Dev Mode와 개발 협업

  • Dev Mode: 개발자 전용 뷰에서 CSS, 변수, 이미지 등 바로 추출(유료 플랜)
  • Focus View: 특정 요소만 집중적으로 확인, 개발자와 소통 효율화

피그마 플랜 선택 FAQ

Q1. 무료 플랜으로도 실무에 쓸 수 있나요?
A. 소규모, 개인 프로젝트에는 충분합니다. 하지만 팀 단위, 대규모 협업, 디자인 시스템 구축, 고급 프로토타입, 무제한 파일 관리가 필요하다면 유료 플랜이 필수입니다.

Q2. 유료 플랜의 가장 큰 장점은?
A. 무제한 프로젝트/파일, 팀 라이브러리, 고급 프로토타입, Dev Mode, 무제한 버전 기록, 관리자 기능 등 대규모 협업에 최적화된 기능을 제공합니다.

Q3. 유료 플랜 비용은 어떻게 되나요?
A. 2025년 기준, Professional 플랜은 약 $12/월, Organization 플랜은 약 $45/월(1인 기준)이며, 역할별(Full, Dev, Collab 등)로 요금이 다릅니다.

Q4. 무료 플랜에서 유료로 전환하면 데이터가 사라지나요?
A. 아닙니다. 기존 작업물은 그대로 유지되며, 제한이 해제되어 더 많은 프로젝트와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피그마는 무료 플랜만으로도 입문과 소규모 프로젝트에 충분하며,
유료 플랜으로 확장하면 팀 협업, 대규모 관리, 고급 기능, 개발 연계까지 모두 해결할 수 있습니다.

실전 팁 요약

  • 플러그인, Auto Layout, 컴포넌트 등 반복 작업 자동화
  • 팀 단위 협업, 디자인 시스템 구축 시 유료 플랜 적극 활용
  • Dev Mode, 고급 프로토타입 등 최신 기능으로 실무 효율 극대화
  • 업무 규모와 협업 방식에 따라 플랜을 현명하게 선택

피그마를 제대로 익히면, 누구나 빠르고 효율적으로, 그리고 협업 중심으로 최고의 결과물을 만들 수 있습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