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와이 숲에 불임 모기 방사, 멸종 위기 꿀먹이새를 구하다

하와이 모기 방사

하와이에서 진행 중인 4천만 마리 모기 방사 프로젝트의 배경과 목적, 그리고 멸종 위기 조류 보호를 위한 과학적 전략을 소개합니다. 볼바키아 감염 불임 수컷 모기 방사, 드론 활용, 그리고 생태계 보호에 미치는 영향까지, 이슈 중심으로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합니다.

최근 하와이에서 과학자와 환경단체가 대규모 모기 방사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전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습니다. 2023년 말부터 시작된 이 프로젝트는 마우이와 카우아이 등 주요 섬에 약 4천만 마리의 수컷 모기를 방사하는 이례적인 ‘생태 전략’으로, 그 배경에는 기후 변화와 멸종 위기에 처한 하와이 고유 조류 보호가 자리 잡고 있습니다.

하와이의 숲 상공을 날아다니는 거대 드론이 살아 있는 모기로 가득 찬 캡슐을 뿌리는 모습은 마치 영화 속 장면처럼 보이지만, 이는 실제로 진행 중인 과학적 대책입니다. 방사된 모기는 일반적인 모기가 아니라, 볼바키아(Wolbachia)라는 특정 박테리아에 감염된 불임 수컷입니다. 이 수컷 모기는 야생 암컷과 짝짓기를 해도 알이 부화하지 않아, 모기 개체 수를 점차 줄여나가는 원리입니다.
이처럼 과학자들은 모기 자체를 박멸하기보다는, 번식 능력을 차단하는 방식으로 하와이의 생태계를 보호하려는 전략을 선택했습니다.

이 프로젝트의 핵심 목적은 하와이 토착 조류, 특히 ‘꿀먹이새(honeycreepers)’를 모기가 매개하는 조류 말라리아로부터 지키는 데 있습니다. 19세기 초 외부에서 유입된 모기와 함께 퍼진 이 질병은 하와이에만 서식하는 꿀먹이새를 심각하게 위협해, 한때 50종이 넘던 꿀먹이새 중 현재는 17종만이 고지대에서 간신히 생존하고 있습니다.
최근 기후 변화로 인해 하와이 전역의 기온이 급상승하면서, 모기의 서식 범위가 고지대까지 확장되고 있어 남아 있는 꿀먹이새 역시 멸종 위기에 처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과학자들은 모기 개체 수를 줄여 감염병 확산을 막고, 조류의 생존을 보호하기 위해 특단의 조치를 내린 것입니다.

이 프로젝트는 ‘Birds, Not Mosquitoes(모기가 아니라 새)’라는 환경단체가 주도하고 있습니다. 수컷 모기만을 방사하는 이유는, 수컷은 사람을 물지 않기 때문에 질병 전파 위험이 없기 때문입니다.
드론을 활용해 접근이 어려운 숲 깊은 곳까지 모기를 방사함으로써, 하와이의 고유 생태계 보호에 더욱 효과적으로 접근하고 있습니다.

현재까지의 효과는 아직 명확하게 입증되지는 않았지만, 과학자들은 이 전략이 꿀먹이새와 같은 멸종 위기 조류에게 소중한 시간을 벌어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하와이의 이례적인 모기 방사 프로젝트는 기후 변화와 외래종 확산, 멸종 위기 등 복합적인 환경 문제에 맞서는 혁신적인 시도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앞으로 이 프로젝트가 하와이의 생태계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전 세계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댓글 남기기